맨위로가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규칙으로, 2000년에 문화관광부에 의해 고시되었다. 이 표기법은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을 ⟨g⟩, ⟨d⟩, ⟨b⟩, ⟨j⟩, ⟨k⟩, ⟨t⟩, ⟨p⟩, ⟨ch⟩와 같이 표기하며, 어말 위치의 자음은 'k', 't', 'p'로 표기한다. 모음 'ㅓ'와 'ㅡ'는 각각 'eo'와 'eu'로 표기하며, 'ㅝ'는 'wo', 'ㅢ'는 'ui'로 표기한다. 'ㄹ'은 모음 앞에서는 'r',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표기한다. 하이픈은 음절을 구별하거나, 인명, 주소 표기에 사용된다.

이 표기법은 인명 표기의 다양성, 외국어 화자의 혼란, 절충적 성격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인명 표기에서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한민국 여권에서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강제 사항이 아니다. 또한, 한글을 충실하게 표기하는 것도 아니고, 음성학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아니라는 절충적 성격을 띤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조지 M. 매큔과 에드윈 O. 라이샤워가 개발한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며, 유기음과 모음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와 브레베 등의 기호를 사용하고, 대한민국과 북한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다른 표기법이 사용된다.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맥 매큔
    맥 매큔은 한국 관련 연구자이자 교육자로, 에드윈 O. 라이샤워와 함께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을 발표했으며, 옥시덴탈 칼리지에서 한국어와 한국사를 가르치고, 한국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심장 문제로 사망했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어문 규정 -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은 한국어 표기 규칙을 정한 규정으로,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기반으로 1988년 개정되어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남북한 맞춤법 차이 및 띄어쓰기 규정 개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요
명칭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로마자 표기Gugeo-ui Romaja Pyogibeop
종류로마자 표기법
상세 정보
설명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0년 7월에 고시한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특징한국어의 발음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음운론적 원리를 적용
한글 철자를 기준으로 로마자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목적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를 통일하여 정보 교류의 효율성을 높임
외국인이 한국어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이전 표기법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관련 법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참고

2. 표기법의 특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이전의 표기법들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ŏ영어와 ŭ영어로 표기하던 모음 ㅓ한국어와 ㅡ한국어는 각각 eo영어와 eu영어로 표기한다.
  • * ㅝ한국어는 wo영어로, ㅢ한국어는 ui영어로 표기한다.
  • 음절 첫 위치의 ㅅ한국어은 항상 s영어로 표기한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문맥에 따라 sh영어 또는 s영어를 사용했다.)
  • * 뒤에 다른 자음이 오거나 어말 위치에 있을 때는 ㅅ한국어을 t영어로 표기한다. (예: 옷한국어 → ot영어, 옷에한국어 → ose영어)
  • 비음한국어설측음으로 발음될 때는 비음이 아닌 경우 l영어로 표기한다. (예: 전라북도한국어 → Jeo'''l'''labuk-do영어)
  • 언어학적 음역(표기가 아님)에서는 음절 초 ㅇ한국어을 나타내기 위해 단어의 시작을 제외하고 하이픈을 사용해야 한다. (예: 없었습니다한국어 → eobs'''-'''eoss-seubnida영어, 외국어한국어 → oegug'''-'''eo영어)
  • 이름에서 음절을 하이픈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문맥에서 표시되는 특정 음운 변화는 이름에서 이름 간의 구분을 더 잘하기 위해 무시된다. (예: 강홍립한국어 → Gang Hong'''r'''ip영어 또는 Gang Hong-'''r'''ip영어)
  • * 이는 완벽한 가역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예: 빛나한국어와 샛별한국어 → Bitna영어와 Saetbyeol영어 (음절 말 자음 ㅊ한국어과 ㅅ한국어은 모두 t영어가 됨))
  • 행정 구역(예: 한국어)은 고유 지명에서 하이픈으로 연결된다: 강원도한국어 → Gangwon'''-do'''영어
  • * 시, 군, 읍한국어과 같은 용어는 생략할 수 있다. (예: 평창군한국어Pyeongchang-gun영어 또는 Pyeongchang영어, 평창읍한국어 → Pyeongchang-eup영어 또는 Pyeongchang영어)
  • * 지리적 특징과 인공 구조물의 이름은 하이픈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예: 설악산한국어Seoraksan영어, 해인사한국어Haeinsa영어)
  • 고유 명사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한국에서는 이전부터 다양한 표기 방식이 시도되어 왔다. 언어학 등 학술 분야에서는 한글을 엄밀하게 표기하는 예일 표기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철자와 발음의 괴리가 심하여 읽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나, 이에 가까운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한글은 표음 문자이지만, 한국어의 정서법 특성상 철자와 발음 사이에는 복잡한 대응 규칙이 있다. 매큔-라이샤워식 표기법은 한글을 충실하게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을 고려한 표기이므로 영어 화자에게 친숙하다. 그러나 매큔-라이샤워식 표기법에 사용되는 기호(브레베나 아포스트로피 등)가 종종 생략되어 혼란을 야기한다는 중국어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유사한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이 표기법이 정해지기 전에 사용되었던 문교부 1984년식 표기법(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참고)에 대해서도 정확한 운용이 이루어지지 않아 1984년 이전에 사용되던 표기법(문교부 1959년식)과 혼용되었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음운적 구별이 없는 유성음무성음을 구별하여 표기하므로, 훈련을 받지 않은 한국인에게 어렵다는 불만도 있었다. 이 때문에 1984년 이전에 사용되던 방식을 바탕으로 이 표기법이 정해졌다.

이 표기법은 매큔-라이샤워식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한글을 충실하게 표기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로마자 표기에서 기계적으로 원래의 한글 철자를 복원할 수는 없다. 매큔-라이샤워식 표기법과 비교하면, 브레베를 폐지하고, 기호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자음의 규칙도 단순화했다. 매큔-라이샤워식 표기법이 영어 화자에게 친숙하도록 유기음무기음의 대립에 더하여 유성음과 무성음도 식별하는 데 반해, 이 방식은 음절 첫머리의 무기음을 G, B, J, 유기음을 K, P, CH로 기계적으로 표기한다. 또한, "시한국어"는 shi(X-SAMPA:/Si/)에 가깝게 발음되며, 문교부 1984년식에서도 shi로 표기되었지만, 이 방식에서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따라 si로 표기한다. 이처럼,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을 당황하게 만드는 점이 적지 않아, 영어 화자에게는 불친절한 방식이지만, 그렇다고 음성학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충실히 반영한 것도 아닌 절충 방식이다.

이에 대해, 이 방식의 옹호자는,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병음 표기가 서양인에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오랫동안 이어졌지만, 현재는 영어에서도 병음 표기가 채택되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면서, 이러한 문제는 다른 언어를 표기할 때 반드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가 완전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지명에도 철저하게 적용함으로써 "통일"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제2의 도시인 부산의 표기를 "Pusan"에서 "Busan"으로 개정한 것은 그 상징일 것이다. 다만, 이 공시가 나오기 이전에 정착되었던 상표까지는 개정되지 않아 "Samsung"이나 "Hyundai"와 같은 이 표기법을 벗어난 운용은 해소될 전망이 없다. 또한, 인명까지는 철저하게 적용되지 않아 같은 이름이라도 개인마다 표기가 다르다는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2. 1. 기본 원칙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표준발음법에 따라 로마자로 표기한다. 로마자 이외의 부호 사용은 최대한 자제한다.[4]

2. 2. 유기음과 무기음 표기

유기음 자음 ㅋ한국어, ㅌ한국어, ㅍ한국어, ㅊ한국어은 ⟨k⟩, ⟨t⟩, ⟨p⟩, ⟨ch⟩로 표기한다. 무기음 자음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은 각각 ⟨g⟩, ⟨d⟩, ⟨b⟩, ⟨j⟩로 표기한다. 이 문자 쌍은 음절 처음에 영어에서도 비슷한 유기음 구분을 가지고 있다(비록 한국어와 달리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도 있지만). 이 방법은 한어 병음에서도 사용된다. 반면에,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은 무기음과 유기음 자음에 모두 ⟨k⟩ ⟨t⟩ ⟨p⟩ ⟨ch⟩를 사용하며, 유기음의 경우에는 아포스트로피를 추가한다(⟨k'⟩ ⟨t'⟩ ⟨p'⟩ ⟨ch'⟩).[4]

어말 위치에 놓일 때,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파열음이 되지 않으므로 각각 ⟨k⟩, ⟨t⟩, ⟨p⟩로 표기한다: 벽한국어 → ''byeo'''k''''', 밖한국어 → ''ba'''k''''', 부엌한국어 → ''bueo'''k''''', 벽에한국어 → ''byeo'''g'''e'', 밖에한국어 → ''ba'''kk'''e'', 부엌에한국어 → ''bueo'''k'''e'', 입한국어 → ''i'''p''''', 입에한국어 → ''i'''b'''e''.

2. 3. 'ㄹ' 표기

ㄹ|ㄹ한국어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표기한다. 리을|리을한국어 → '''''r'''ieu'''l''''', 철원|철원한국어 → ''Cheo'''r'''won'', 울릉도|울릉도한국어 → ''U'''ll'''eungdo'', 발해|발해한국어 → ''Ba'''l'''hae''. ㄹㄹ|ㄹㄹ한국어은 'll'로 표기한다.

2. 4. 특수 규칙


  • 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이 ㅎ한국어과 만나면 소리의 변화가 반영된다. 예를 들어, '좋고'는 ''joko'', '놓다'는 ''nota'', '잡혀'는 ''japyeo'', '낳지'는 ''nachi''로 표기한다.[4]
  • 한국어이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뒤에 오는 명사에서는 거센소리가 반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묵호'는 ''Mukho'', '집현전'은 ''Jiphyeonjeon''으로 표기한다.[4]
  • 혼동될 수 있는 음절 사이에는 하이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5] 예를 들어 '가을'은 ''ga-eul'', '개울'은 ''gae-ul''로 표기할 수 있다.

3. 자음 표기

자음은 위치(초성, 종성) 및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수 있다.

한글
로마자 표기초성gkkndttrmbppsssjjjchktph
종성kktlpttngttt


  • , , 은 단어의 시작 부분이나 모음 앞에서는 각각 'g', 'd', 'b'로 표기하고, 다른 자음 다음에 오거나 단어의 끝에 나타날 때는 각각 'k', 't', 'p'로 표기한다.[4]
  • 은 모음 또는 반모음 앞에서는 'r', 그 외의 경우에는 'l'로 표기한다.
  • 리을한국어 → '''''r'''ieu'''l'''''
  • 철원한국어 → ''Cheo'''r'''won''
  • 울릉도한국어 → ''U'''ll'''eungdo''
  • 발해한국어 → ''Ba'''l'''hae''
  • 전라북도한국어 → ''Jeo'''l'''labuk-do''
  • 유기음무기음은 다른 방식으로 표기한다.
  • 무기음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은 각각 ⟨g⟩, ⟨d⟩, ⟨b⟩, ⟨j⟩로 표기한다.
  • 유기음 ㅋ한국어, ㅌ한국어, ㅍ한국어, ㅊ한국어은 ⟨k⟩, ⟨t⟩, ⟨p⟩, ⟨ch⟩로 표기한다.
  • 어말 위치의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파열음이 되지 않으므로 각각 ⟨k⟩, ⟨t⟩, ⟨p⟩로 표기한다.
  • 한국어 → ''byeo'''k'''''
  • 한국어 → ''ba'''k'''''
  • 부엌한국어 → ''bueo'''k'''''
  • 벽에한국어 → ''byeo'''g'''e''
  • 밖에한국어 → ''ba'''kk'''e''
  • 부엌에한국어 → ''bueo'''k'''e''
  • 한국어 → ''i'''p'''''
  • 입에한국어 → ''i'''b'''e''
  • 은 음절 초 위치에서는 ⟨s⟩로, 다른 자음이 뒤따르거나 어말 위치에 있을 때는 ⟨t⟩로 표기한다.
  • 한국어 → ''o'''t'''''
  • 옷에한국어 → ''o'''s'''e''
  • 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ㅈ한국어이 ㅎ한국어과 인접한 경우 음운 변화를 반영한다.
  • 좋고한국어 → ''jo'''k'''o''
  • 놓다한국어 → ''no'''t'''a''
  • 잡혀한국어 → ''ja'''p'''yeo''
  • 낳지한국어 → ''na'''ch'''i''
  • 단, ㅎ한국어이 ㄱ한국어, ㄷ한국어, ㅂ한국어 다음에 오는 명사의 경우에는 유기음을 반영하지 않는다.[4]
  • 묵호한국어 → ''Mukho''
  • 집현전한국어 → ''Jiphyeonjeon''

3. 1. 파열음

(초성일 때/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올 때)로마자
(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오지 않을 때)gkkkkkkdttt-ttbppp-pp


3. 2. 파찰음

(초성일 때/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올 때)로마자
(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오지 않을 때)ㅈjtㅉjj-ㅊcht


3. 3. 마찰음

(초성일 때/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올 때)로마자
(종성에서 모음이 뒤에 오지 않을 때)ㅅstㅆsstㅎht


3. 4. 비음

(초성)로마자
(종성, 모음 앞)로마자
(종성, 모음 외)ㄴnnnㅁmmmㅇ없음[12]ngng


3. 5. 유음

ㄹ은 초성에서는 'r', 종성에서는 'l'로 표기한다. 단, 'ㄹㄹ'은 'll'로 표기한다.[4]

예) 선릉역(설릉역) (Seolleung Station)

4. 모음 표기

한국어와 ㅡ한국어는 각각 ⟨eo⟩와 ⟨eu⟩로 표기하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의 ⟨ŏ⟩와 ⟨ŭ⟩를 대체한다. 다만, ㅝ한국어는 ⟨wo⟩로, ㅢ한국어는 ⟨ui⟩로 표기한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뉜다.

한글 로마자 표기
한글로마자 표기한국어a
한국어ae
한국어ya
한국어yae
한국어eo
한국어e
한국어yeo
한국어ye
한국어o
한국어wa
한국어wae
한국어oe
한국어yo
한국어u
한국어wo
한국어we
한국어wi
한국어yu
한국어eu
한국어ui
한국어i


4. 1. 단모음

단모음
한글 자모로마자 표기
a
eo
o
u
eu
i
ae
e
oe
wi


4. 2. 이중모음

이중 모음
한글 자모로마자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5. 예외 및 특수 사례

부천의 기차역 이름이 적힌 표지판. 상단에는 한글 표기가 있고, 그 아래에는 수정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라틴 문자 표기가 있으며, 한자 텍스트가 함께 있다.


제천 기차역 이름이 적힌 표지판. 상단에는 한글 표기가 있고, 그 아래에는 수정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라틴 문자 표기와 '역'의 영어 번역이 있으며, 한자 텍스트가 함께 있다.


거의 모든 도로 표지판, 철도 및 지하철 역 이름, 노선도 및 표지판 등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수정 로마자 표기법'', 또는 ''대한민국'' 또는 ''문화관광부(MC) 2000''이라고도 함)에 따라 변경되었다. 이 절차를 수행하는 데 최소 5000억에서 6000억(미화 5억달러~6억달러)이 소요된 것으로 추산된다.[6] 모든 한국 교과서, 지도 및 문화 유산 관련 표지판은 2002년 2월 28일까지 새로운 시스템을 준수해야 했다. 다만, 성씨 및 기존 회사 이름의 로마자 표기는 변경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는 새로운 이름에 대해 수정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문화재 이름, 자연 지물, 인공 구조물의 이름에는 하이픈(-)을 붙이지 않는다.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한자어에서 발음 변화가 생기는 것은 한글 발음 표기대로 표기한다.

5. 1. 행정 구역 표기

행정 구역 단위(, , , , , , , , 가)는 지명과 붙임표(-)로 분리한다.[6] '시', '군', '읍'은 생략 가능하다.[6]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와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6]

행정 구역 단위로마자 표기
도(道)do
시(市)si
군(郡)gun
구(區)gu
읍(邑)eup
면(面)myeon
동(洞)dong
리(里)ri
가(街)ga

5. 2. 도로명 주소 표기

도로명 주소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에는 도로 구분 단위('''대로''', '''로''', '''길''')와 지명을 붙임표('-')로 구분하며,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1]

도로 구분 단위로마자
대로(大路)daero
로(路)ro
gil



단, 법정동으로 쓰인 “로”는 “-”로 구분하지 않는다.[1]

5. 3. 인명 표기

인명은 ' 이름' 순으로 띄어 쓰며,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넣는 것을 허용한다. 성은 관습에 따라 사용하는 것도 허용한다.[6]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는 로마자 표기를 "새롭게" 등록하는 사람들에게 수정 로마자 표기법을 따를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여러 유럽 언어가 철자 개혁을 거친 것처럼, 수정 로마자 표기법이 한국 성씨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채택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 ''박'', ''김'', ''최'' 대신 ''I'', ''Bak'', ''Gim'', ''Choe''와 같이 표기)[6]

5. 4. 문화재, 자연 지물, 인공 구조물 표기

문화재명이나 자연 지물명, 인공 구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적는다. 고유 명사이므로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5. 5. 한자어 표기

한자어에서 발음 변화가 생기는 것은 한글 발음 표기대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국민'은 [궁민]으로 발음되므로 'Gungmin'으로 표기한다.[1]

예시:

6. 비판 및 논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인명 표기의 다양성, 외국어 화자의 혼란, 절충적 성격 등으로 인해 여러 비판과 논란에 직면해 있다.

인명 표기의 경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도로명과 지명에서는 잘 지켜지고 있으나, 실제 인명에서는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 '', '', ''는 각각 Kim, Lee, Park, Choi로 표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13] 대한민국 여권에서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강제 사항이 아니다.[13] 엄익상 한양대학교 교수는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13]

외국어 화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한글 철자를 기계적으로 복원할 수 없고, 유성음과 무성음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외국어 화자에게 어려울 수 있다.[2] '시한국어'가 /Si/에 가깝게 발음됨에도 'si'로 표기하는 것도 혼란을 줄 수 있다.[2] 옹호자들은 중국어의 병음 표기도 영어에서 채택되고 있다는 점을 들며,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

또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 표기와 한국어 발음 사이에서 절충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영어 화자에게 불친절하다는 지적도 있다. '시'를 'si'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시이다. 옹호론자들은 병음 표기의 예를 들며, 다른 언어를 표기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며,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6. 1. 인명 표기의 다양성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도로명과 지명에서는 잘 지켜지고 있으나, 인명에서는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성씨 '', '', '', ''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면 각각 Gim, I, Bak, Choe가 되지만, 실제로는 각각 Kim, Lee, Park, Choi라는 표기가 더 일반적으로 쓰인다.[13] 대한민국 여권에서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강제 사항이 아니다.[13]

엄익상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한국어 인명 로마자 표기 실태와 다른 국가에서 대한민국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13]

6. 2. 외국어 화자의 혼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국어 음운 체계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어 화자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이 표기법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한글을 충실하게 표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로마자 표기에서 기계적으로 원래 한글 철자를 복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음절 첫머리의 무기음을 'G, B, J', 유기음을 'K, P, CH'로 기계적으로 표기하는 방식은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외국어 화자에게 어려울 수 있다.[2] 또한, '시한국어'는 /Si/에 가깝게 발음되어 이전에는 'shi'로 표기되었으나, 현행 표기법에서는 한국어 음운 체계에 따라 'si'로 표기하는 것도 외국인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2]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옹호자들은 중국어의 병음 표기도 서양인에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현재는 영어에서도 채택되고 있다는 점을 들며,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한다.[2]

6. 3. 절충적 성격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을 충실하게 표기하는 것도 아니고, 음성학적이나 음운론적으로 한국어의 발음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아닌 절충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을 당황하게 만드는 점이 적지 않아, 영어 화자에게는 불친절한 방식이라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시'는 X-SAMPA:/Si/에 가깝게 발음되며, 문교부 1984년식에서도 'shi'로 표기되었지만, 이 방식에서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따라 'si'로 표기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대한 옹호론자들은 중국어의 병음 표기가 서양인에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오랫동안 이어졌지만, 현재는 영어에서도 병음 표기가 채택되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면서, 이러한 문제는 다른 언어를 표기할 때 반드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가 완전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orean http://www.korea.net[...]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2000-07-01
[2] 웹사이트 한국어 어문 규범 https://kornorms.kor[...] 2022-12-31
[3] 웹사이트 로마자표기법 https://m.terms.nave[...] Doosan Encyclopedia 2024-06-16
[4] 웹사이트 Romanization of Korean http://www.korean.go[...] 2016-12-13
[5] 웹사이트 로마자 표기법의 이해 – 로마자 표기와 붙임표(-) https://korean.go.kr[...] New Korean News (새국어소식) 2001-05-01
[6] 웹사이트 2005년까지 연차적으로 도로표지판을 바꾸는 데 5000억~6000억원이 들고 http://monthly.chosu[...] Monthly Chosun 2019-05-22
[7] NAVER 사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https://ko.dict.nave[...] NAVER 2021-06-05
[8] 문서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 https://www.mcst.go.[...]
[9] 네이버 지식백과 로마자표기법 [Romanization]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로마자표기법 [─字表記法] 한국학중앙연구원
[11] 문서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4-0042호 https://www.mcst.go.[...]
[12] 문서 현대 한국어의 초성 "ㅇ"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13] 콘퍼런스 로마자표기법: 국내표준과 국제표준 https://www.korean.g[...] 국립국어원 2011-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